명절 상차림의 핵심은 구성 간소화와 타임라인 관리입니다.
“대표국 1 + 메인전 2 + 나물 3 + 밥/김치/과일” 공식으로 품목을 고정하고, D-3 재료 손질 → D-2 전·나물 베이스 → D-1 국·조림 완성 → 당일 굽기·데우기 루틴만 지켜도 분업이 쉬워져요. 아래 표준 메뉴·분량표·장보기·플레이팅·예산·건강 대체안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목차 :

1) 명절 상차림 공식(간편 버전)
- 대표국 1 : 설날은 떡국/만둣국, 추석은 소고기뭇국/토란국.
- 메인전 2 : 동그랑땡/육전/생선 전 중 2개로 고정.
- 나물 3 : 시금치·도라지·고사리(또는 숙주·취나물) 3종.
- 밥·김치·과일 : 쌀밥/잡곡밥, 김치 1~2종, 제철 과일.
- 보너스 : 장조림·잡채·산적 중 1~2개만 추가 (과투입 금지).
포인트 — “1-2-3-기본” 구조로 정리하면 장보기·조리·상차림 모든 단계가 단순해집니다.
2) 설날 상차림(표준 메뉴)
카테고리 | 메뉴 예시 | 간단 팁 |
---|---|---|
국 | 떡국/만둣국 | 육수는 전날 완성, 떡은 찬물에 헹궈 전분 제거 |
전/메인 | 동그랑땡, 산적, 육전 | 지름 4cm 표준화, 지단은 오믈렛처럼 넓게 구워 절단 |
밑반찬 | 시금치·도라지·고사리 나물, 장조림·잡채 | 나물은 밑간만 해두고 당일 다시 한 번 무치기 |
기본 | 밥·김치·과일 | 과일은 한입 크기, 접시 가장자리 링 형태로 배열 |
3) 추석 상차림(표준 메뉴)
카테고리 | 메뉴 예시 | 간단 팁 |
---|---|---|
국 | 소고기무국/토란국/미역국(지역·가정별) | 무는 큼직·넓적, 토란은 초벌 데쳐 비린내 제거 |
전/메인 | 삼색전(호박·동태·두부)·버섯전/표고전·갈비찜 | 밀가루-계란 최소 코팅, 기름은 키친타월로 관리 |
밑반찬 | 고사리·숙주·시금치, 깻잎지/나박김치 | 나물 3색 대비(초록·갈색·흰색)로 시각 밸런스 |
기본 | 밥·김치·과일·전통주/식혜 | 식혜는 전날 한 병만, 과일은 생산지·품종 태그 |
4) 인원별 분량표 & 장보기 리스트
품목 | 4인 기준 | 6인 기준 | 팁 |
---|---|---|---|
떡국 떡 | 1kg | 1.5kg | 냉동 보관 시 지퍼백 소분 |
소고기(국거리/불고기) | 600g | 1kg | 국거리/불고기 1:1 혼합 |
전류(동그랑땡·생선전) | 30~35장 | 45~50장 | 지름 4cm·두께 0.8cm |
나물 3종 | 각 200g | 각 300g | 데친 후 짜서 수분 최소화 |
과일 | 대 4~5개 | 대 6~8개 | 색 조합(빨강·노랑·초록) |
장보기 핵심 — 공산품(부침가루·간장·참기름)은 D-5, 신선식품(육·채소·과일)은 D-2~D-1, 얼음팩·보냉백 준비 필수.
5) D-3~당일 조리 타임라인
- D-3 : 도라지/고사리 불리기·삶기(냉장), 김치/장아찌 점검, 접시·도마·집게 세트화.
- D-2 : 나물 밑간, 전 재료 손질(동그랑땡 반죽·어슷썰기), 육수(멸치·사골) 만들기.
- D-1 : 국 완성(식혀 냉장), 장조림/잡채(면·당면은 당일), 전 70%만 구워 반조리.
- 당일 : 전 재가열·지단 커팅·과일 플레이팅, 밥 짓기, 상차림 후 즉시 사진 한 장!
기름·냄새 관리 — 환풍기 + 창문 대각선 환기, 기름은 얇게·자주 교체, 식초물 한 그릇으로 냄새 흡착.
6) 플레이팅·상차림 동선
- 센터: 대표국/전골(보온 적용) → 주변에 메인전 2종 반시계 배치.
- 좌우 균형: 나물 3종을 좌·우·후면 삼각형 구도로 배치.
- 높이: 큰 접시 뒤·작은 접시 앞, 과일은 링 배열로 색감 강조.
- 개인접시: 집게 2개(생선/육류), 국자 1개, 아이 젓가락·앞치마 별도.
- 사진 포인트: 자연광 창가, 45° 각도, 상단 미니 꽃/보자기로 포인트.
7) 예산 절약 & 건강 대체 메뉴
예산 절약
- 전은 3종 이하로 압축하고, 대량은 반조리 구매 + 집에서 굽기.
- 소고기 대신 돼지 앞다리/목살로 잡채·장조림 변형.
- 과일은 혼합 소포장으로 남김 최소화.
건강 대체
- 저염: 간장은 연간장으로, 소금은 마지막에 소량.
- 저지방: 전은 에어프라이어/팬소량유 재가열.
- 비건/채식: 두부 전·버섯 전·나물 3종 + 들깨미역국/버섯들깨탕.
- 알레르기: 달걀 코팅 어려우면 전분+물반죽으로 대체.
8) 보관·리메이크
- 보관: 전류는 식힌 뒤 종이포일 사이사이 분리·지퍼백 냉동(2~3주).
- 해동: 냉장 1일 → 팬/에어프라이 170℃ 5~7분.
- 리메이크: 전 덮밥·전 라자냐, 나물비빔밥·된장비빔, 장조림볶음밥·토스트.
9) 체크리스트 템플릿
[분업표] 운전( ) 장보기( ) 손질( ) 전 굽기( ) 국( ) 나물( ) 세팅( ) 사진( ) 설거지( )
[테이블] 센터 전골( ) 좌( ) 우( ) 뒤( ) 개인접시( ) 수저/젓가락( ) 물컵( ) 휴지( )
[안전] 화상연고( ) 소화기/가스 점검( ) 미끄럼 매트( ) 장갑/앞치마( )
한 줄 요약 — 명절 상차림은 “1-2-3-기본” 구성과 D-3 타임라인만 지키면 누구나 여유 있어집니다. 올해는 전 2·나물 3·대표국 1로 간결하게, 맛과 시간 모두 잡아보세요.
'명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추석 장인장모 선물 추천, 품격 있게 고르는 법 (0) | 2025.10.03 |
---|---|
추석 건강식품 선물 추천 2025: 예산·대상·카테고리별 스마트 가이드 (0) | 2025.10.03 |
추석 한우 선물세트, 실패 없이 고르는 공식 (0) | 2025.09.30 |
명절 증후군, 스트레스는 줄이고 관계는 지키는 법 (0) | 2025.09.29 |
2025년 추석연휴 무료 개방 공간 총정리 (0) | 2025.09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