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글날 무료입장 하는 곳은 크게 다섯 축으로 정리됩니다.
① 4대 궁·종묘·조선왕릉(일부 예외)
② 국립·시립 박물관 상설전
③ 한글 테마 전시공간
④ 한옥마을·도심 전시장
⑤ 행사 연계 체험부스. 아래 표만 보고 일정 짜면, 가족/커플/학생 모두 가성비 있는 한글날을 보낼 수 있어요.
목차 :

1) 한눈에 보는 무료입장 표
카테고리 | 대표 장소 | 무료 기준(요약) | 주의 사항 |
---|---|---|---|
궁·왕릉 | 경복궁·창덕궁·덕수궁·창경궁, 종묘, 조선왕릉 | 한글날 무료 개방이 관례적 (창덕궁 후원 등 일부 유료·예약) | 관람 시간·입장 마감 확인 필수 |
국립 박물관 | 국립중앙·민속·현대사 등 | 상설전 상시 무료, 기획전은 유료 가능 | 대형 전시는 사전 예약/대기 |
시립 박물관 | 서울역사·한양도성·한성백제·부산·대구·광주 등 | 상설전 무료가 일반적, 지역별 상이 | 휴관 요일·운영 시간 체크 |
한글 테마 | 국립한글박물관, 세종이야기/충무공이야기 전시관 | 상설 무료, 한글날에 체험·행사 확장 | 체험 부스는 조기 마감 잦음 |
한옥·도심 | 남산골한옥마을, 돈의문박물관마을, 북촌·익선 | 입장/관람 공간 무료(일부 유료 프로그램 별도) | 주차 어려움, 대중교통 권장 |
2) 궁·종묘·조선왕릉 — 한글날 클래식 무료 코스
- 4대 궁 (경복궁·창덕궁·덕수궁·창경궁): 전통 건축과 정원의 미를 가까이 볼 수 있는 핵심 동선입니다. 창덕궁 후원(비원)은 별도 유료·예약제가 유지되는 경우가 많으니 예외로 보세요.
- 종묘: 평소 해설 동반 관람인 날이 많지만, 한글날 전후로는 자유 관람/특별 운영이 종종 열립니다.
- 조선왕릉: 도심 밖 자연·유네스코 유산 산책 코스. 아이와 함께 가볍게 걷기 좋습니다.
포인트 — 오픈런(개장 직후) 또는 해질녘에 여유 있게 즐길 수 있고, 유모차/휠체어 동선도 비교적 안정적입니다.
3) 국립·시립 박물관 — 상설전 무료 200% 활용
- 국립중앙박물관(용산)·국립민속박물관(경복궁 인근) 등은 상설전 무료가 기본입니다. 한글날엔 전통문화 체험/공연이 더해지는 경우가 많아요.
- 시립·도립 박물관 (예: 서울역사박물관, 한성백제박물관, 각 지역 시립박물관)은 상설 무료가 일반적입니다.
- 국립현대미술관 등 주요 미술관은 지정 무료 관람일이 따로 운영되니 날짜를 꼭 확인하세요.
관람 팁 — 대형 기획전은 유료/대기 가능성이 높습니다. 상설전 위주로 ‘가볍게 여러 곳’이 효율적이에요.

4) 한글 테마 전시·공간 — 날에 맞는 베스트 선택
- 국립한글박물관(용산): 한글의 탄생과 확산, 문자 디자인까지. 한글날에는 퀴즈/스탬프/체험 부스가 자주 열립니다.
- 세종이야기·충무공이야기 전시관(광화문 지하): 상설 무료. 도심 산책과 묶기 좋고, 비가 올 때 플랜 B로도 훌륭합니다.
5) 한옥마을·도심 전시장 — 사진·산책·체험까지
- 남산골한옥마을: 입장 무료, 일부 전통 체험은 유료. 도심 속 한옥 풍경 스냅사진 명당.
- 돈의문박물관마을: 근현대 골목을 재현한 전시마을. 상설 전시·포토스폿이 풍부합니다.
- 북촌·익선동: 마을 자체는 무료. 골목 질서 유지를 위해 주민 생활 시간대 배려는 필수!
6) 추천 코스(동선 압축)
가족(유아·초등)
- 국립한글박물관 상설전 → 용산가족공원 피크닉 → 경복궁 산책 → 국립민속박물관 상설전
커플/친구
- 덕수궁 돌담길 → 서울시립미술관(상설/무료관람일 체크) → 광화문 세종이야기 전시관
학생(과제·동아리)
- 광화문 세종대왕상 포토 → 세종이야기 전시관 취재 → 한성백제/서울역사 상설전 기록
7) 예약·대기·우천 플랜 & 체크리스트
- 운영 여부: “한글날 무료입장”은 기관별 공지로 매년 조금씩 달라집니다. 공식 홈페이지 공지를 꼭 확인하세요.
- 타이밍: 오픈런(개장 직후) 또는 저녁대(야간 조명 시간)는 대기 줄이 짧고 사진이 예뻐요.
- 사전예약: 일부 체험/특별전은 무료라도 예약제입니다. 예매 페이지 캡처 후 입장에 대비하세요.
- 우천: 세종이야기 전시관·지하 전시장·박물관 상설전으로 코스 전환.
- 준비물: 신분증(예약 확인), 우산/우비, 보조배터리, 물티슈, 아이는 손목 연락처 스티커.
8) 추천 사이트(바로 확인하러 가기)
- 궁·종묘·조선왕릉 관람 안내 — 바로가기
- 경복궁·덕수궁 등 고궁 안내 — 바로가기
- 국립한글박물관 — 바로가기
- 국립중앙박물관·국립민속박물관 — 바로가기
- 서울시 공공전시·행사 — 바로가기
한 줄 요약 — 한글날 무료입장 하는 곳은 “궁·종묘·왕릉 + 상설전 무료 박물관 + 한글 테마 전시장 + 한옥마을” 네 축으로 잡으면 끝! 방문 전 기관 공지만 확인하면, 지출은 줄이고 만족은 크게 올릴 수 있습니다.